최근 대학사회에서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동 추세를 볼 때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필요성을 부정하기 힘들다. 저출산·고령화 경향으로 대입 정원은 나날이 줄고 있다. 교육부는 2018년을 기점으로 대입 정원이 고교졸업자 수보다 많아질 것이라 예측했다. 기존의 운영방식으로는 더 이상 대학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의미다. 기대수명의 증가는 또 다른 고등교육 수요를 창출했다. 평생직장이 더 이상 통하지 않는 오늘날 평생교육은 피할 수 없는 추세다. 대학사회에서 선취업·후진학이라는 평생교육 단과대학의 기치는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하지만 사안의 중요성에 비춰볼 때 그에 대한 투자는 미미하다. 교육부와 대학은 300억이라는 재정지원 규모만을 투자의 전부로 생각했다. 섣부른 판단이다. 재정적 지원 외에도 열린 통로를 통한 의견 수합과 정책에 고민하는 시간 모두 투자해야 할 귀중한 자원이다. 교육부와 대학 측은 졸속행정으로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을 강행했다. 사업 발표가 난 지 5개월만에 6개 대학을 선정했다. 이후 신청요건을 완화해 추가신청을 받기도 했다. 1달만의 일이다. 시간의 부족은 소통의 부족을 낳았다. 학생들과의 협의는 사라졌다. 대학 내에 비판 여론이 빗발치자 급히 공청회를 열기도 했다. 하지만 공청회는 소통의 자리라기보다 학교의 입장을 재확인 하는 통보의 자리에 가까웠다. 결과적으로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은 평생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만 조성했다.  

평생교육은 중요한 문제다. 재정은 세 축 중 하나에 불과하다. 재정으로만 받치기에 평생교육은 너무나 무겁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