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역사교과서(이하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이 지난 28일 공개됐다. 그런데 그 교과서에 잘못된 점이 많다. 국정교과서가 공개되고 나서 2일 뒤인 지난 30일 역사교육 연대회의 등의 역사학회는 기자회견을 열고 공개된 국정교과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현대사 부문에서 국가폭력과 인권탄압의 서술을 누락한 점이나 박정희 정권 관련 분량은 늘리는 대신 6월 항쟁 이후 30년 세월은 4쪽밖에 서술하지 않는 등의 문제를 꼬집었다.

지적되는 문제점은 이뿐만이 아니다. 현장검토본과 함께 국정교과서 31인의 집필진 명단도 함께 공개됐다. 이들 중에는 보수 성향의 원로 역사학자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현대사 부문의 6명의 교수 집필진 중 4명이 뉴라이트 성향으로 분류된다. 국정교과서 편찬의 명분은 기존 검정교과서의 이념적 편향성을 극복하자는 것이었다. 이런 명분을 생각해볼 때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집필진 명단이다.

교육관계자들의 반응도 싸늘하다. 각 교육단체들은 국정교과서를 사용하지 않는다며 반대 운동을 시작했다. 또한 각 시도의 교육감들도 국정교과서의 폐기를 요구했다. 특히 서울과 광주교육청은 내년 중1 교육과정에서 역사 과목을 가르치지 않기로 했다. 강원·세종·전북교육청 등은 국정교과서를 대체할 ‘대안교과서’를 준비하고 있다.

대학생들도 현수막이나 대자보를 통해 국정교과서 집필에 참여한 교수들을 비판했다. 건국대에는 ‘국정교과서 집필진 ooo교수님, 이러려고 역사 배웠나 자괴감 들고 괴롭습니다’ 등의 현수막이 게시됐다.

이처럼 반대 여론이 뜨거운 이유는 무엇일까. 교육에서만큼은 정치적 목적이 개입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어떠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레임이 자라나는 세대의 사고를 규제해 버린다면 새로운 시각을 가진 발전적인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 발전적 인재를 양성할 수 없다는 것은 곧 사회 발전의 저해를 의미한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은 그동안 ‘주입식 교육’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다양한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가르치지 않고 단순히 교과서에 쓰여 있는 지식을 알려주고 이 지식을 외우라는 식으로만 교육한다는 것이다. 이런 비판을 받고 있는 교육 현실에서 국정교과서를 편찬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는 국정 교과서 사용을 재고해야 한다. 오늘날의 교육정책은 10년, 20년 후에 우리사회의 모습을 결정하기에 사회 구성원들의 합의에 따라 매우 신중하게 결정돼야 하기 때문이다.


장한결 기자
uiggg@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