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3면 <학생회비, 누가 누가 숨겼다> 기사를 취재한
김수빈 기자와 최진렬 편집국장이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왜 이번 논란이 불거졌을까

개강총회나 과별 행사에서 회계 보고를 하더라도 모든 학생이 직접적으로 학생회 측에 의의를 제기하거나 해명을 요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사실상 학부·과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감사도 이뤄지지 않는 실정이다. 재작년 경영대 학생회비 횡령 사건이 있고 나서도 학부·과에 대한 감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단 사실은 공금 운용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혹시나 발생할지 모를 부정에 대비하려는 움직임을 볼 수 없기 때문에 학생회비에 대해 의심을 제기하는 여론이 생겨나는 것 같다.

결국 임시대의원회의에서 논의됐다

대의원회의 현장에서 학부과 학생회비 장부 내역을 공개하자는 내용의 학칙 개정안이 발의됐다. 이에 현장에서는 반대를 표하는 목소리가 많이 나왔다. 대부분의 대의원이 학칙 개정에 반대하는 분위기였던 것으로 기억한다.

합의가 쉽지 않았다

개정안 발의자 측에서 많은 학생들이 학생회비 사용처에 대해 의구심을 표하는 것에 대해 적절한 피드백을 해야 한다고 설득했지만 결국 학칙 개정은 무산됐다. 많은 대의원들이 학생회비 장부 내역 공개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생회의 대표자로서 학생회비를 투명하게 운영할 책임이 있다는 것에 공감하지 못한 것 같다.

지금도 충분히 투명하다고 생각하나 보다

학생회비 사용 내역을 아예 공개하지 않는 학부·과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모든 학부·과에서 학과 내 커뮤니티를 통해 회계자료를 게시하고 있긴 하다. 때문에 학생회 측은 학생회비 운영에 투명성이 보장된다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전문적인 감사 등의 부정을 방지할 장치 없이는 얼마든지 제2의 경영대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공개를 꺼린 학생회도 있었다

적극적으로 취재에 협력해준 학부·과도 있었지만 인터뷰를 거부한 곳도 많았다. 학생회비 문제가 공론화되면 발생할 곤란한 상황을 피하고 싶었던 것으로 보인다. 학생회의 입장에선 ‘그동안 똑같이 운영해왔는데 왜 굳이 지금 변해야 할까’하는 생각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이러한 태도는 일종의 책임 회피가 아닐까. 학생회가 학과를 위해 봉사하고 수고한다는 사실은 충분히 인정하지만 학과를 대표하는 사람들로서 학교구성원들의 궁금증에 답할 의무가 있다는 사실을 통감해줬으면 한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