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구조개혁평가>

 
교육부가 ‘대학구조개혁 평가 2주기 기본계획(이하 2주기)’을 지난 9일 발표했다. 2주기 계획은 내년 3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2주기 계획에 의하면 ‘1주기 대학구조개혁(이하 1주기)의 성과를 바탕으로 추진 과정에서 제기된 문제점들을 보완·개선하기 위해 대학의 다양한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1주기를 진행하면서 겪은 문제를 바탕으로 2주기 과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1주기를 통해 촉발된 대학의 개혁 노력 체질화 △학교별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 △균형적 발전을 위한 지방대/전문대의 기능 및 경쟁력 확보 △기계적인 규모 축소가 아닌 질적 개선을 병행한 인적자원 감소 대비이다.

2주기는 1주기와 비교해 평가 방식이 크게 달라진다. 1주기에서는 대학을 A등급부터 E등급으로 나누어 B등급부터 정원감축을 시도한 반면 2주기에서는 두 단계의 평가를 통해 자율개선 대학과 X, Y, Z 세 등급으로 학교를 구분한다. 1단계 평가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구분해 진행한다. 1단계에서 자율개선 대학으로 선정되면 정원감축의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2단계 평가에서 10% 이내는 자율개선 대학으로 조정 검토된 후 X, Y, Z 등급으로 나누어진다. X등급의 경우 정원감축만 권고받지만 Y, Z 등급은 재정지원 제한과 정원감축의 대상이 된다. Y등급의 학교는 재정지원의 일부가 제한되고 Z등급의 학교는 재정지원 사업, 장학금, 학자금 대출이 전면적으로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1주기에 이어 연속으로 최하평가를 받는 등 학사운영이 어려운 경우 한계 대학으로 선별된다. 한계 대학으로 선별되면 기능전환, 통·폐합, 폐교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2주기는 1주기의 문제점들을 보완·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하지만 그 문제들을 극복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1주기에서 문제가 됐던 ‘지방대 죽이기’라는 비판은 2주기에서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 정도가 더 심해질 우려도 있다. 2주기의 1단계 평가에서 지방과 수도권을 분리해 평가하지만, 2단계부터는 통합평가로 진행된다. 2단계에서 낮은 등급을 받는 학교가 정원감축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수도권 대학보다 학생 유치와 재정상황이 불리한 지방대학이 정원감축의 대상이 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1주기부터 문제된 ‘지방대 죽이기’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1주기의 경우 4만명의 감축인원을 A등급을 제외한 모든 학교가 부담했다. 하지만 2주기는 자율개선 대학으로 선정되지 않은 학교들이 감축을 부담해야 한다. 교육계에서는 감축대상이 되는 학교를 하위 50%인 96개의 대학으로 예상하고 있다. 2주기의 감축정원은 7만명이다. 이를 종합하면 1주기에 158개 학교가 4만명의 감축부담을 진 것에 비해 2주기에서는 더 적은 96개 학교가 더 많은 7만명의 감축부담을 져야 한다. 대학교육연구소(이하 대교연)는 ‘지방대학 두 번 죽이는 2주기 대학구조개혁 방안’에서 ‘구조개혁이 충원율 미달 대학의 정원을 감축하고 퇴출시키는 것이라면 시장원리에 맡겨두는 것과 아무 차이가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자율개선 대학으로 선정된 대학에 관한 지원사업의 실효성에 관한 의문도 제기됐다. 2주기에서 자율개선 대학은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된다.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된 대학은 자율적으로 특성화를 선택하게 된다. 특성화는 크게 연구중심대학, 교육중심대학으로 나뉜다. 이에 대해 대교연은 ‘대학 양극화 심화 우려되는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우리나라의 백화점식 종합대학이 정원을 줄이지 않고 특성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학부 정원감축 대책 없는 연구중심대학 육성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대교연 임지성 연구원은 “특성화는 정원감축 관련 정책과 맞물려 가야한다. 이미 학부가 대학원보다 비대한 상황이다. 정원을 유지한다면 학부생에 대한 투자가 있어야 하는데, 이 와중에 연구중심의 대학을 지향한다는 것은 논리가 맞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임지성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어떤 분야를 특정적으로 집중 육성하는 식의 발전계획을 따른 것이 아닌 정원을 늘리기 위해 여러 학과들을 신설하면서 종합대학의 형태를 갖췄다”며 “여러 학과를 육성하게 되면 보다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질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2주기는 고등교육 전반의 질적 수준에 대한 제고를 계획했다. 이는 정원감축의 대상이든 아니든 대학이 추구해야 할 목표다. 모든 학교가 추구해야하는 목표에 관해서 일부 학교만 평가를 받는다. 직접적으로 관련된 항목인 재정·회계와 법인책무 관련 항목은 2단계의 평가지표이다.

교육부는 2주기가 다가오는 인구절벽과 대학정원간의 간극을 줄이고, 고등교육의 균형발전에 기여할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평가에 있어 지방과 수도권을 분리하고 자율개선 대학과 재정지원사업을 연계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를 통해 지방대학의 경쟁력 확보와 고등교육의 질적 변화를 추구할 수 있을지는 확실치 않아 보인다.


이재윤기자 ebuuni321@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