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호 「서울시립대신문」 ‘자리배석 시스템 9월 6일부터 본격 가동’ 제하 기사는 새로 도입된 자리배석 시스템을 둘러싼 여러 견해들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기사가 총학생회의 견해에 대해 오해를 가진 듯해 이를 해명하고자 한다.

먼저 총학생회는 지문인식기 도입에 반대했지만, ‘궁극적으로 자리배석 시스템 자체를 반대’했다는 기사의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 총학생회는 많은 부분에서 자리배석 시스템 도입 필요성에 공감했고, 이를 위한 논의에도 여러 차례 참여했었다.

물론 총학생회도 이 시스템에 많은 한계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배정된 4시간이 너무 짧다, 연장 신청을 위해 다시 자리배석기를 찾아가야 한다는 등의 호소가 들려온다. 자리 맡기 경쟁, 사석화 등의 문제 또한 궁극적으로 해결될 수 없다. 이 때문에 지문인식기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사회적으로 인권 침해 논쟁을 일으키고 있는 지문인식기가 올바른 해결 수단이 될 수는 없다.

이런 문제들은 시험 때만 되면 턱없이 부족해지는 도서관 자리 수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이 넉넉하다면 이런 문제가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총학생회는 도서관 자리 확충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자리배석 시스템 9월 6일부터 본격 가동’ 제하 기사에서 총학생회를 원론적으로만 ‘도서관 확장’을 말할 뿐 구체적 현실을 보지 않는 사람들인 것처럼 보도한 것은 매우 아쉬운 점이다. 총학생회 역시 ‘도서관 확장의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취업 경쟁 때문에 몇 해 전부터 도서관에 관한 여러 쟁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바늘구멍보다도 작은 취업문을 통과해야 하는 학생들이 이전보다 더 자주 도서관을 찾고, 도서관 좌석이나 도서관 사물함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한, 그러나 슬픈 현실이다. 총학생회는 이러한 학생들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도서관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앞장서겠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