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는 1964년, 전농학보로 창간된 이래 계속해서 학생들을 위한 기사를 담아내고 있다. 하나의 대학기구로서 학보사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중앙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등의 신문과 크게 다르지 않은 역할을 맡는다. 그들이 ‘국민’을 위해 글을 쓴다면, 학보사는 ‘학생’을 위해 글을 쓴다. 본지뿐 아니라 모든 학보 기자는 조금이라도 더 예리한 기사를 쓰기 위해 굳이 스스로 골머리를 썩이고 하나의 정보라도 더 얻기 위해 직접 취재원을 찾아 나선다.

하지만 일반 신문이 대중의 무관심과 구독률 저하로 어려움을 겪고 있듯, 학보도 마찬가지 상황에 놓여있다. 학보 기자들은 ‘학생을 위해 좋은 글을 쓰려 항상 노력하지만’ 학생들의 외면과 무관심, 때때로는 비웃음 속에서 항상 취재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학보 기자를 지치게 만들고 좋은 글을 쓰고자 하는 의지를 갉아먹는다. 우리는 학생들의 무관심이 학보 기자를 지치게, 지친 학보 기자가 좋은 글을 쓰지 못해 학생들의 무관심을 불러오는 악순환에 빠진 것은 아닐까.

국가의 주인이 국민이듯, 학보의 주인도 학생이다. 아니, 학생이 돼야 마땅하지만 학보는 그 주인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학보사에게 있어서 학생의 무관심은 결코 가벼운 짐이 아니다. 상상하기 싫지만, 미처 짐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학보사가 쓰러진 대학사회에는 과연 무엇이 남을까. 항상 대학을 지켜보고 의문을 제기하는 하나의 존재가 사라진 곳은 어떤 곳일까. 신문을 집어 드는 그 손이 바로 학보 기자의 짐을 덜어주는 손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