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는 발생할 수 있지만 그 부조리를 어떻게 해결하는지는 더 중요하다. 우리 대학 내에서 지난 몇 달간 수많은 부조리 사건들이 터져 나왔다. 환경공학부 교수 사건, 세무학과 소모임 사건, 교양필수 과목 교수의 성폭력 사건까지 줄지어 이어져 왔다. 사건이 터져나온 것 자체가 긍정적인 일이다. 그간 문제제기하지 못했던 일들이 하나씩 문제화 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문제 제기는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졌을까? 지금까지는 주로 SNS나 서울시립대학교 대나무숲, 에브리타임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는 명확한 민원 창구가 마련돼 있지 않거나, 마련돼 있더라도 제대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번호 서울시립대신문 3면에서는 ‘총장에게 바란다’ 제도의 미흡한 점을 다뤘다. ‘총장에게 바란다’가 전부 총장에게 읽힐 수는 없다. 하지만 기사에서 나왔듯 조교에 대한 불만이 해당 조교에게, 그것도 학생의 실명을 밝힌 채 전달되는 일은 없어야 했다. 사안의 중요성에 따라 행정적으로 처리될 사안과 다른 대처가 필요한 사안을 구분할 방법이 현재까지는 없는 셈이다.

학생인권위원회 역시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몇주 전 우리대학 총학생회장 권한대행은 ‘인권위는 총학생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조직이기에 서울시립대학교 학생인권위원회의 전문성과 조사 및 구제활동을 직접적으로 보증할 수 있는 규칙이 인권보호를 위한 기본 세칙뿐’이라는 글을 남겼다. 내부 고발, 미투 운동이 그 세력을 넓혀나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대학 내 문제를 해결할 주체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내부 고발과 미투 운동은 시작이며, 이제는 공식적인 고발방법과 해결주체를 만들어야할 때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