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립대신문이 이번호를 준비하는 과정은 너무나 슬펐다. 보도부 취재가 진행되는 동안 학생자치가 다양한 방식으로 약화되고 있는 것이 눈에 띄었기 때문이다. 점점 각박해져 가고 있는 사회구조, 자치 경험의 부재 등 학생자치 약화의 원인은 다양하겠으나 학생자치 기구의 입장에서 이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은 너무나 당연하다. 학생자치 기구 간의 건전한 연대 또는 견제를 통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고 ‘이들이 학생사회를 위해 일을 하고 있구나’, ‘이들이 제대로 우리를 대표하고 있구나’라는 인식을 학생들에게 심어주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학생자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호응이라는 정신적인 위안, 현실적으로는 학생회비 납부율의 상승으로까지 이어질 것이다. 다시 말해 학생자치를 다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학생자치를 대표하는 자들의 충실한 역할 수행 및 인식 제고가 필요한 것이다.

대학신문사, 대학방송국, 영자신문사가 소속된 우리대학 대학언론사는 총장을 사장으로 두는 언론사임에도 불구하고 학생 신분의 기자가 신문사를 대표하고 인사관리를 담당하는 국장에서 수습기자의 역할까지 맡게 된다. 또한 대학 내외의 사안을 학생사회에 취재·정리·전달하는 역할을 통해 하나의 어엿한 학생자치 기구로서의 명색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때때로 대학언론사는 다른 학생자치 기구로부터 ‘함께 같이 가야 할’ 학생자치 기구라는 인식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서울시립대신문은 이번 총학생회 공약평가 기사를 준비하며 학생자치 기구의 대표자, 담당자부터 교직원까지 상당히 많은 취재원을 만났다. 기사 마감을 서두르고 있던 어느 날, 취재를 담당한 기자 중 한 명이 “취재 목적과 질문의 의도를 정리해 정중하게 질문지를 보냈는데…”라더니 “상대방으로부터 ‘기자님들끼리는 서로 내용을 공유하지 않느냐, 왜 나 말고도 다른 관계자에게 이미 물었던 내용을 계속해서 물어보느냐’는 식의 답이 돌아왔다.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라며 내게 물어왔다. 취재원이 보내준 답변의 끄트머리에는 ‘;;?’라는 문장부호가 찍혀 있었는데, 이는 ‘왜 자꾸 우리를 귀찮게 하느냐’며 두 명의 기자에게 식은땀을 흐르게 만들었다. 사실 열정 있는 취재를 통한 땀, 그리고 이성에서 오는 물음표는 기자가 갖춰야 할 소양이다. 하지만 당혹스러운 감정에서 오는 식은땀과 물음표는 아니다.

입장을 바꿔 생각해보면, 한 명의 개인은 쏟아지는 질문들 속에서 짜증을 느낄 수 있다. 아니, 짜증이 나는 것이 오히려 인간적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학생자치 기구에 몸담은 공인으로서 서울시립대신문의 기자는 ‘질문’이라는 권리를 넘은 의무가 있고 학생자치 기구에 소속된 자는 이를 알맞은 방식으로 답할 의무가 있다. 학생자치 기구들 스스로의 자세가 정리되지 않는 한 학생들이 우리를 믿고 따라줄 이유는 아무데도 없을 것이다.


서지원 편집국장
sjw_101@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