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730호의 3면에서 평생지도교수제, 4면에서 학생복지위원회를 다뤘다. 두 제도와 단체의 공통점은 해당 제도와 단체에 대한 우리대학 재학생들의 인지도가 떨어진다는 점이다. 아무리 좋은 제도와 단체일지라도 홍보의 부족으로 인지도가 떨어지면 존재의 이유와 목적을 온전히 이뤄 내기 힘들다. 해당 제도와 단체는 우리대학 재학생들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더더욱 그렇다. 결국, 이는 그 제도와 단체의 실효성과 필요성에 대한 문제 제기로 이어진다.

평생지도교수제도는 2017년 3월 학업설계상담제도의 담당 교수가 바뀌어 연속성 있는 상담이 불가능하다는 지적에 따라 도입됐다. 배정된 교수는 재학생의 평생지도교수가 돼 졸업 전까지 해당 학생의 지도를 맡는다. 그러나 도입 목적인 ‘지속적인 상담’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재학생 중에서 ‘학업설계상담’이 끝난 이후에도 지도교수와 ‘평생지도교수제도’로 묶여 있다는 사실을 아는 학생이 적기 때문이다. 결국, 지도교수의 배정은 유명무실하다. 1학년 이후로는 상담이 끊겨 활용되지 않는 제도라면 ‘평생지도교수제도’라는 이름이 과분하다.

학생복지위원회(이하 학복위)도 마찬가지다. 많은 학생들이 해당 단체의 존재여부를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해당 단체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학복위실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아는 학생이 적다. 총학생회비와 학교지원을 통해 다양하고 좋은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그 대상이 돼야 하는 학생들의 인지도는 낮다. 이는 학생들이 학복위에서 추진하는 사업으로부터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결과를 낳는다. 많은 학생들이 혜택을 받지 못하는 ‘학생복지위원회’, 슬프게도 모순적이다. 평생지도교수제와 학생복지위원회, 모두 재학생들을 위해 존재한다. 그러나 홍보 부족으로 인해 인지도가 떨어지면 해당 제도와 단체는 ‘유명무실’해지고, 존재의 필요성에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존재 이유를 사수하기 위해서라도 활발한 홍보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