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도 어김없이 수능이 치러졌다. 수능의 난이도가 쉬워져 점수가 오를 것이라는 당일 언론 보도가 뒤집어지며 가채점 결과가 발표됐다. 학생들의 학력 수준이 떨어져 수능의 난이도는 쉬워졌음에도 평균 점수대는 5점 가량 낮아진 것이다.

매해 그렇듯 난이도 문제로 한바탕 난리를 치르는 아비규환. 그 가운데, 한 학생의 죽음에 관한 비보(悲報)가 전해졌다. 사인은 수능 성적에 대한 비관 자살이었다. 예상보다 성적이 낮게 나오자 ‘낙오자라 불릴까봐 두렵다’며 자살을 택한 것이다.

이 어리석고도 슬픈 죽음 앞에서 오히려 이 사회를 ‘비관’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대학이 인생을 좌우한다고 믿게끔 교육받고, 12년을 오직 좋은 대학에 입학하는 것을 목표로 매진해야 한다. 한 인간으로서의 자유와 권리를 빼앗긴 채 기형적인 이 사회에 제 몸을 맞춰 가는 것이다. 진정으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삶에 있어 어떤 가치를 우선할 것인지 정작 중요한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볼 여력은 주어지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낳는 것은 일차적 원인은 현재의 수능시험이 결코 합리적인 시험 형태가 아닌 때문일 것이다. 전혀 전문화·다양화되지 못한 채 폭력적이라 할 만큼 획일적이다. 무엇을 전공하려 하건 대학에 가려면 획일적으로 같은 수능을 치러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야 한다.

그나마 기회도 일년에 단 한번뿐이다. 단 하루의 시험으로 인생의 등급이 매겨지는 수능제도가 학생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있으니, 가히 ‘살인적인’ 교육제도라 할 만하다. 단순히 난이도의 문제가 아니라 대학입시제도의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그러나 보다 절실한 것은 학연으로 뭉치고 학벌로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회적 풍토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대학이 결코 그 사람의 능력이나 인성을 나타내주는 것이 아님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일본에서 지방대 학사 출신의 회사원이 노벨화학상을 탄 것에 대해 그렇게 감탄하며 떠들어댔다면 조금이라도 반성하고 달라지는 바가 있어야 하지 않겠나.

저 죽음을 그저 연례행사처럼 치부하지 말아야 한다. 학벌 없는 사회, 학생들이 학생다운 활기를 띄는 사회를 만들자. 기껏 수능 점수나 대학 합격 여부를 가지고 한 인간을 낙오자 취급하는 곳이 바로 이 사회이다. 그래서 어린 학생을 죽음으로까지 내모는 사회에 지금 우리가 살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