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 대다수 국민들을 실망시킨 두 가지 사건이 발생했다. 하나는 흔히 386세대로 일컫는 젊은 정치인들이 광주 망월동 묘소를 참배한 후 술판을 벌인 일이고, 또 다른 하나는 녹색연합의 사무총장이자 총선연대 대변인을 지낸 장원씨의 성추행 사건이다. 이 두 사건은 각 언론 매체를 통해 ‘도덕성의 재검토’의 문제로 표면화되었고, 불법까지 감수하면서 벌였던 그리고 벌이고 있는 많은 개혁운동에 찬물을 끼얹고 말았다.

이미 많은 언론매체에서 표현하는 바, 이번 문제가 수구세력들에 맞설 개혁 정치인들이나, 사회 각 분야를 변혁시킬 시민운동에 대한 ‘도덕성의 재검토’ 문제로 초점화되는 듯하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개혁이 과연 필요한가’, ‘모두 다 똑같지 않은가’ 하는 ‘정치·사회개혁 무효화’의 논리 또한 섞여 있는 듯하여 여간 실망스럽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사건은 개인적 도덕성의 문제이지 정치개혁 세력 모두나 시민단체 모두에게 해당되는 일은 아니다. 개인들이 저지른 일에 대한 대가는 국민들에게 사죄를 빌거나 구속이라는 법적 제도로 일단락된 셈이다. 따라서 문제의 핵심은 ‘도덕성의 재검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얼마만큼 정치·사회개혁을 꾸준히 이루어낼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이 두 사건을 계기로 하여 수구세력들은 도덕성 운운하며 당사자들을 비판함과 동시에, 정치·사회개혁 세력들 모두가 ‘도덕적 불감증’에 걸려 있다고 비방하고 있다. 이러한 수구세력들의 비판 본질은 타자의 비판을 통한 자신의 입지를 확보며, 그럼으로써 모든 정치인들이 다 그렇고 그렇다는 식으로 몰고 가고 있다. 또한 이 두 사건을 개혁세력들 모두에게 큰 문제가 있는 양 보도한 언론매체들도 개혁의 흐름에 역행하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수구세력과 언론매체의 공조관계는 자명한 듯 하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하여 수구세력들이 기지개를 펴고 다시 활동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는 안되며, 각종 언론매체 또한 여기에 부화뇌동하는 자세를 취해서는 안될 것이다.

국민들 또한 이번 사건을 언론에 표면화된 사실들만 가지고 ‘정치개혁 무효화’의 논리, 즉 모두 그렇고 그렇다는 식으로 파악해서는 안될 것이다. 국민들은 개혁 세력에 대한 실망이 아닌 따끔한 충고를 보내야 할 것이다. 이에 젊은 정치인들이나 시민운동 단체들 또한 이번 사건을 계기로 하여 환골탈태(換骨奪胎)해야 한다. 그리고 언론매체들 또한 국민들에게 올바른 시선을 갖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며, 그럼으로써 정치 및 사회 개혁의 고삐를 늦추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