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C 대학의 경쟁코드 ‘특성화’. 변화양상과 앞으로의 과제는

“대학간에도 빅딜이 필요하다.”, “백화점식 교육에서 맞춤형 특성화 교육으로 바꿔야 한다.” 지난 6월 29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주최하는 전국대학총장 세미나에서 나온 말이다. 지금 대학은 과거 무분별한 ‘인원 늘리기식’ 정책에서 탈피해 대학별 특성화를 꾀하고 있다. 교육부에서도 ‘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통해 대학의 다양화와 특성화를 유도하는 정책을 펼치겠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대학별 개혁정책의 큰 흐름은 자신의 대학에 적합한 학문의 특성화이다. 목포대학교의 경우 작년에 4개 학과를 특성화 사업부로 선정했다. 특성화 사업부로 선정된 학부에는 올해부터 5년간 총 10억 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목포대학교에서는 특성화 사업학부의 선정근거로 ‘지역의 특성과 산업체와의 연관성 정도’를 들었다. 동덕여대는 국내 최초로 패션전문대학원을 설립해 패션분야의 특화를 꾀하고 있다.

이외에도 경일대학교의 경우 산·학·연 컨소시엄을 확대해 기업과 대학간의 광범위한 연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청운대학교는 방송산업을 특성화시킬 계획이다. 또 다른 대학개혁의 방향은 ‘수요자 중심의 대학재편’이다. 상주대학교는 전 학과에서 필수과목을 완전히 폐지하고, 학과별로 일정 수의 학점만 취득하면 졸업이 가능토록 해 학생들의 선택폭을 넓혔다. 또한 인제대학교는 ‘개방형 복수전공 제도’를 도입해 학생들이 취득학점 수, 학년, 학과 등에 제한을 받지 않고 의과대를 제외한 모든 학과의 복수전공을 가능하도록 했다.

이밖에도 국민대학교는 다전공 제도를 확대했고 아주대학교는 학생서비스 센터를 개설했다. ‘대학의 정보화’ 구축 사업도 활발하다. 한국방송통신대는 그동안 재학생들이 공부하는 곳이 다양해 의사소통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는데, ‘학생 커뮤니티 시스템’을 구축해 재학생간의 원활한 교류를 돕고 있다. 포항공대는 기업에서 대학의 연구성과를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사이버 테크노마트’를 개설해 산학공동체를 강화하고 있다. 지방대일수록 이러한 대학별 특성화 사업이 더욱 활발한데 그 이유는 대학 총 입학생 수의 급감으로 지방 중소대학의 경우 생존의 기로에 서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교육부에서는 대학별 특성화를 유도하기 위해 대학의 자율권을 확대하고 있다. 과거의 정부에서 일괄적으로 결정했던 등록금액을 대학이 자체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주거나 국립대학의 경우 교원인사 권한을 총장에게 이양시키는 등 대학에 자율권을 주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대학의 자율적인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 특성화 기반조성 지원사업비’라는 예산을 책정해 95년부터 5년 간 2800억 원을 투입했다. 정부는 앞으로 더욱 많은 대학의 특성화 사업을 유도하기 위해 재정지원 규모와 폭을 확대할 계획이다.

충남대 윤형원 교수는 대학교육 기고문에서 “대학개혁과 특성화의 성패는 대학이 얼마나 본연의 사명을 충실히 수행했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즉 대학개혁 성과의 평가기준은 결국 대학이 교육과 연구의 수월성을 추구하여 사회발전에 공헌하는 정도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윤 교수는 “지금의 교육부 예산지원액으로는 대학별 특성화가 힘들다. 더욱더 많은 재정지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