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상이몽_같은 주제, 서로 다른 생각

대한민국은 동방예의지국을 표방하며 공자를 숭상하고 그의 철학을 존중하며 700여년이 넘도록 살아왔다. 유교 속에서 성장했고, 그것을 공부했으며 그래서 그것을 가장 아름다운 가치로 여겼던 대한민국에서 ‘유교의 유효기간은 끝났다’고 외친 화제의 책,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 이 책의 저자는 한일합방, 6·25, IMF 세 가지 사건들은 그저 우연한 것이 아닌 우리 내부의 필연적인 원인 때문이었으며, 이 원인으로 바로 유교를 지목하고 있다.

이 책은 유교는 처음부터 정치적 탐욕을 감추려고 도덕의 가면을 쓰고 출발한 것이며, 유교의 이상사회인 대동사회 역시 픽션의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공자의 도덕은 정치, 남성, 어른, 기득권자, 심지어 주검을 위한 도덕이었으며 이는 젊음과 창의성 말살, 가부장의식, 혈연적 폐쇄성, 분열본질을 야기했다고 지적한다. 또 이런 폐해를 ‘공자 바이러스’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책은 크게 세 가지 이유를 들어 유교를 비판한다. 첫째는 지나친 인문(人文)의식의 만연이다. 이 때문에 법치(法治)가 되지 않고, 인치(人治)의 문화가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이 인문의식은 효 사상으로, 충성사상으로, 결국에는 충을 ‘강요’하기에 이르렀다. 결국 이 사회에서 법까지 주무를 만한 인치 문화의 만연은 사람 위에 사람을 군림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둘째는 온고지신(溫故知新)에 따른 뒤돌아보기 문화이다.

대한민국의 ‘옛날만세’정서가 미래를 지향하는 젊은 정신의 발목을 수시로 붙잡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화는 옛것에만 절대적 가치를 두어 자꾸만 낡은 책을 뒤져 해답을 찾으려는 우를 범한게 한다고 말한다. 마지막으로는 뒤돌아보기 문화에 비롯된 것으로, 조상숭배를 넘어선 주검숭배이다. 공자가 『논어』에서 “죽으면 예를 갖추어 장사를 지내고, 또 예를 갖추어 제례를 지내야 한다”라고 한 ‘예(禮)’를 앞세운 문화는 화려한 분묘 치장문화를 부추겼으며, 결국에 사람을 생매장하는 사태에까지 이르렀다. 또한 풍수지리설과의 묘한 결합으로 인한 묏자리 쟁탈로 번졌다고 말한다.


공자 논쟁의 2라운드를 여는 책은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이다. 이 책의 저자는 <공자가 살아야 나라가 산다>에 대해 ‘진정으로 공자를 아는가?’라고 반박한다. 제 나라와 민족의 전통과 문화를 ‘서양’의 부정적 시각으로만 썼다는 것이다. 왜곡된 공자로 진짜 공자를 죽일 수 없다며, 유교의 아류에 불과한 부분만을 확대해석했다고 재비판한다. 전통을 부정하는 방법으로써 공자를 죽이고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고자함은 사대주의적 발상에 불과하며, 이는 지식인으로서의 경거망동이라고 비난한다. 오히려 21세기 밀레니엄시대에는 실천적 사랑인 ‘인(仁)’의 유교적 가치가 적극 적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책은 IMF의 원인으로 공자가 아닌 정경유착, 사치성 소비문화, 지하경제를 지목한다. 이는 오히려 공자가 “경제를 튼튼히 함에 큰 길이 있으니, 생산자는 많고 실업자는 적으며, 생산 활동은 빠르게 하고 소비를 더디게 한다면 재산이 항상 족하게 된다”라 한 말을 지키지 않아서였기 때문이었다고 말한다. 또 유교는 기득권자를 위한 수직적 윤리가 아니라고 말한다. 사실 우리가 말하는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삼강(三綱)’은 유교의 본질이 아니며, 핵심은 수직관계가 아닌 인륜관계의 상호 책임과 의무를 강조한 ‘오륜(五倫)’에 있음을 밝힌다.

또 이 책은 위의 ‘공자 죽이기’에 다시 반박하는 세 가지 주장을 편다. 첫째, 인문의식은 반드시 덕이 전제되어야 한다. 맹자의 혁명설에 알 수 있듯이, 충성 받는 사람의 덕의 유무에 ‘충(忠)’의 실행이 달린 것이다. 그러므로 수직적 관계가 형성되어 일방적인 충성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 둘째로, 온고지신(溫故知新)은 수단이 ‘온고(溫故)’이고 그 목적은 ‘지신(知新)’에 있음을 강조한다. 온고지신은 두 발 전진을 위한 한 발 후퇴일 뿐, 과거에 갇혀있겠다는 논리가 아니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교는 ‘개똥밭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며 내세사상도, 기복사상도 없는 지극히 현실적인 사상이므로 이것이 주검숭배에 이어지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한다. 조상숭배와 주검숭배는 엄연히 다른 것이며, 나를 있게 해준 조상에 대해 예를 표하는 것은 효의 연장이지, 주검을 숭배하겠다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공자를 죽이냐, 살리냐의 논쟁은 결국 새 시대를 앞둔 우리 사회의 정체성을 어떻게 찾아야 하고, 유교로 상징되는 전통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던진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광해군의 중립외교 정책을 과거의 소중화(小中華)의 속에서는 의리를 저버렸다고 평가했지만, 현재에는 실리 외교로 재조명 하는 것처럼 역사의 평가는 시대에 따라 변하는 것이다. 우리가 나아갈 시대가 요구하는 가치는 공자를 죽이는 것일 수도, 살리는 것일 수도, 혹은 제 3의 대안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 대안을 찾는 숙제는 우리 몫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