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탈문화재에 있어 우리나라도 깨끗하지 않다’ 오타니 컬렉션 반환추진위원회(이하 반환추진위)의 주장이다. 반만년동안 침략행위가 전무하다시피 한 우리나라에 약탈문화재라니, 과연 무슨 말일까.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3층 아시아관에는 중앙아시아의 문화재들이 전시돼 있다. 이들 중 약 1,500점은 오타니 컬렉션이라 불린다. 이들 문화재는 약탈문화재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둘러싼 반환논쟁이 일고 있다.

오타니 컬렉션은 일본의 승려 오타니 고즈이가 1902년부터 12년 동안 중앙아시아에서 수집한 약 5,000여 점의 유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일본 명찰 니시혼간지의 주지승인 오타니는 당시 열강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던 중앙아시아 탐사 열풍에 합류했다. 오타니의 탐사는 모두 3차례에 걸쳐 이뤄졌으며, 탐사지역은 주로 현재 중국신장자치구의 도시인 투루판에 집중됐다. 대승불교의 자취를 찾아간다는 명목아래 이뤄진 탐사의 실상은 투루판 지역의 문화재들을 뜯어오거나 무덤을 파헤치는 등의 약탈행위였다.

하지만 1914년 니시혼간지의 재정상황이 악화되자 더 이상 자금을 마련할 수 없었던 오타니는 탐사를 중단했다. 오타니가 모은 문화재들은 중국, 일본 등으로 뿔뿔이 흩어졌는데, 그 중 3분의 1 가량은 일본 사업가인 구하라 후사노스케의 수중으로 들어가게 됐다. 1916년 구하라는 광산채굴권을 대가로 오타니 컬렉션을 당시 조선총독이던 데라우치 마사타케에게 양도했다. 이들 문화재는 일본 패망 이후 옛 국립중앙박물관, 총독부 건물 등을 전전하다가 2005년부터 새로 개장된 용산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지난 2007년 반환추진위는 오타니 컬렉션의 중국반환을 골자로 하는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이들은 유출된 문화재에 대해서 환수운동을 벌이는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의 약탈문화재를 소장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주장했다. 반환추진위 사무총장 혜문스님은 신장웨이우얼자치구 후웨이 부주석을 만나 오타니 컬렉션의 공동 반환운동에 합의하는 등의 활동을 벌였으나 가시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한편 오타니 컬렉션의 반환을 염려하는 목소리도 존재한다. 국립중앙박물관 민병훈 아시아부장은 지난 2007년 한겨레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지의 보존기술이 이들 문화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며 반환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소설가 김영종씨 또한 “오타니 컬렉션의 원래 주인은 위구르족이므로 중국에 이들 문화재를 반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마치 프랑스가 일제에 외규장각을 반환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는 설명이다.

중국정부는 2009년부터 해외조사 실무팀을 발족시키는 등 약탈문화재 환수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우리나라 정부와의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우리나라 정부는 아직까지 침묵을 지키고 있어 오타니 컬렉션 반환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