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달 25일은 이 땅에 전쟁이 발발한지 62년이 되는 해다. 일제로부터 독립한지 불과 5년만의 일이었다. 아직 국가로서 기틀을 제대로 잡지 못해 모든 것이 어설픈 상황에서 황망하게 당하였을 그 때의 우리의 부모를 생각하면 측은하기 짝이 없다. 모든 것이 선후가 뒤엉키어 뒤죽박죽 된 상태에서 사랑하는 가족의 갑작스런 죽임을 목도하거나 허탈한 이별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그들에게 깊은 애도를 보낸다. 그런데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가장 불운한 시대를 살아왔던 그들이 전후 나라를 세계 12위의 무역국가로 만들었다. 그 때를 기억하는 이들은 내외국인을 불문하고 한결같이 현재의 대한민국의 발전을 경탄해 마지않는다. 다시 한 번 6·25의 참화 속에서 사라져간 이들과 오뚝이 같이 일어서서 오늘의 우리를 있게 해 준 이들에게 깊은 존경과 감사의 염(念)을 올린다.
지금 정계에는 종북(從北) 논란이 뜨겁다. 당내 선거부정 문제에서 촉발되어 공방전을 펼치는 가운데 대북관과 관련한 국회의원의 자질문제로 옮겨가고 있다. “누구도 생각만으로는 처벌받지 아니한다”는 것은 우리의 부모가 그토록 수호하려고 했던 자유민주국가의 본질에 해당한다. 이 양심의 자유는 헌법 제19조에 의해 모든 국민에게 보장되고 있다. 그러나 헌법기관으로서 개개 국회의원은 단순한 개인과는 같을 수 없다. 국회의원의 자질이 문제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런데 그러한 자질 논란은 자칫 색깔논쟁으로 비화하기 쉽고, 종종 그래왔듯이 해결할 수 없는 미궁으로 빠져들게 될지도 모른다. 이 시점에서 누구는 미래를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 중의 하나는 정당이 가지고 있는 비례대표 국회의원 순위결정권을 국민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