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아무리 이기적인 존재라 하더라도, 그 천성에는 분명히 이와 상반되는 몇 가지가 존재한다.
이 천성으로 인하여 인간은 타인의 운명에 관심을 가지게 되며, 단지 그것을 바라보는 즐거움 밖에는 아무것도 얻을 수 없다고 하더라도 타인의 행복을 필요로 한다.
-애덤 스미스의 『도덕감정론』중에서

애덤 스미스라 하면 그 유명한 『국부론』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자본주의의 이론적 기초가 담겨져 있는 이 책 덕분에 그는 고전 경제학의 창시자로 불리게 됐다. 후에 자유주의 경제학자들이 마르고 닳도록 인용하게 되는 ‘보이지 않는 손’이라는 말도 『국부론』 속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애덤 스미스가 아끼는 저작은 따로 있었으니 『국부론』보다 한참 앞선 시기에 발간된 『도덕감정론』이 바로 그것이다. 그는 죽기 직전까지 계속해서 개정할 정도로 이 책을 아꼈다. 또한 그의 묘비에는 『국부론』에 대한 언급은 없고 ‘도덕감정론의 저자, 여기 잠들다’라는 구절만 있을 정도다. 이렇게 애덤 스미스가 중요하게 여긴 『도덕감정론』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있을까.

『도덕감정론』은 처음부터 경제학의 기본 전제인 이기적인 인간을 부분적으로 부정한다. 그는 인간이 비록 이기적인 마음을 갖고 있다 하더라도 타인의 행동과 마음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 능력을 통해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함에 따라 제3자의 입장에서 자신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올바른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탕이 된다. 개개인이 이런 판단이 가능하다면 사회 전체적으로도 도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신자유주의의 폐해가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금, 애덤 스미스가 『도덕감정론』에서 한 주장은 다시 새겨볼만한 가치가 있다. 그가 『도덕감정론』을 『국부론』보다 먼저 쓴 이유는, 인간의 이기심을 이용해 경제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공감을 통한 이타심이 확보돼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 아닐까. 최근 우리 사회를 거세게 휩쓸고 지나간 공감과 소통을 250여 년 전의 경제학자가 이미 강조했던 내용이다.

김태현 기자 gep44@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