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복고 경향,90년대 복고 열풍
올해 초에 개봉한 <건축학개론>을 시작으로 드라마 <신사의 품격>, <응답하라 1997>에 이르기까지 온통 90년대의 감성과 추억을 자극하는 프로그램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와 더불어 드라마나 영화 속에 등장했던 90년대 아이템들이 다시 상품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구하기 어려운 물품은 중고 시장에서 거래가 활발하다. <응답하라 1997>에 등장했던 게임기, 만화책, 패션 아이템들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인기를 끌며 최근 매출이 45%까지 급등했다. CJ오쇼핑은 자사의 소셜커머스 ‘오클락'을 통해 ‘응답하라 1997’의 감독판 OST 앨범 1,000장을 판매했는데 7시간만에 모두 완판됐다. 또한 인터넷 서점 YES24는 '90년대에 사랑받았던 책'을 주제로 기획전을 열었고 관련 도서의 판매량이 지난달에 비해 60% 늘어났다.

▲ 90년대 중후반 ‘아이돌 문화’의 중심에 서있던 그룹 H.O.T.

사회주도 계층의 변화, 복고의 대상변화 가져와…
지금까지 복고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70, 80년대의 시대였다. 하지만 현재 이러한 틀에서 벗어나 복고의 대상이 90년대로 넘어가는 흐름이다. 학계는 이렇게 복고의 대상이 90년대로 변화된 이유로 ‘사회주도 계층의 변화’를 꼽는다. 올해 6월 LG경제연구원은 ‘문화와 소비를 주도하는 대한민국 30대의 가치관과 라이프스타일’이라는 보고서에서 “최근 386세대들의 뒤를 이어 사회 중진세력으로 자리한 397세대(30대, 90년대 학번, 70년대 출생)가 우리 사회의 변화를 주도하는 세대로서 주목 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구성작가나 PD 감독 등이 모두 비슷한 연령대라는 점도 90년대 추억을 주요 모티브로 삼는데 한몫했다.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90년대 학번으로 자신의 경험담을 구체적으로 묘사할 수 있으며 이에 대중들이 크게 공감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 90년대 대표 아이콘 서태지와 아이들

‘다양성’, 7080과는 다른 90년대의 특징
90년대에 20대를 보낸 세대들은 이제 30대 후반, 40대 초반의 나이에 진입했다. 90년대의 청년들은 정치적·이념적 속박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문화를 통해 스스로의 정체성을 표현한 세대이다. 당시 10~20대 시절을 보낸 현재의 30~40대가 사회의 주요 소비층이 되면서 과거의 추억과 관련된 문화상품을 적극 소비하게 됐다. 특히 90년대 민주화와 함께 찾아온 대중문화의 르네상스는 누구나 자신의 생각과 정서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시대적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문화의 르네상스 시대로 불리던 90년대의 다양한 추억들이 30, 40대에게는 잊고 있던 감성을 불러일으키고, 신세대에게는 새로운 자극으로 다가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90년대 국내에서 다양한 음악 장르 실험을 주도했던 ‘서태지와 아이들’로 대변되는 창의적 콘텐츠가 수없이 쏟아졌으며, 이 콘텐츠가 매우 다양하고 질적 수준이 높았기 때문에 2012년에 이르러서도 왕성하게 소비될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대학에서 ‘대중문화와 철학’을 강의하고 있는 이순웅 교수는 “이념 지향성이 강하면서도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70년대, 80년대의 운동과는 다르게 1990대는 개인적 욕망을 충족시키는 데 관심을 많이 둔 시대다. 그런 시대인 만큼 문화의 지평 역시 훨씬 더 넓어지고 다양해졌다”며 새롭게 떠오르는 90년대 복고의 특징을 설명했다.


복고, 대중문화의 재창조에 기여
오늘날 대중문화의 복고 열풍이 가치 있는 것은 과거의 것들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닌 현재에 맞게 재생산해 낸다는 것에 있다. 90년대 유행했던 ‘투톤’ 헤어스타일이 다시 유행하고 있고, 웬만해선 상상조차 하기 힘들었던 90년대의 대표적 유행 스타일인 ‘청청패션’(청재킷 혹은 청색 셔츠에 청바지를 함께 입는 패션)도 요즘 추세에 맞게 세련된 스타일로 재생산 되고 있다.

이순웅 교수는 “복고는 ‘단순하게 같은 것이 반복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움을 보여주는 계기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일상의 어려움에 직면했으나 마땅한 대안을 현재에서 찾을 수 없을 때, 과거로 눈을 돌려 그 모범을 찾곤 했다”며 대중문화에서 복고가 갖는 가치에 대해 말했다. 덧붙여 그는 “90년대의 복고 또한 오늘날만의 특이한 현상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대중문화의 일련의 흐름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글·사진_ 장국영 기자 ktkt1111@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