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값 등록금을 이야기 하다

최근 경기도 소재 대학들이 ‘등록금 인하’를 결정했다. 하지만 사실상 인하된 금액은 1만 원 내지 2만 원에 불과해 대학생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정부 측에서는 국가장학금 형식으로 등록금 부담을 줄여주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이 역시 학생들의 부담감을 덜기엔 부족하다. 우리대학은 반값 등록금을 최초로 시행해 다른 대학 등록금 정책의 롤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반값 등록금 실현 1주년을 맞이해 우리대학의 지난 1년을 되돌아 봤다. 또한 지난 대학사회 내의 반값 등록금을 둘러싼 이슈들을 모아봤다.          - 편집자 주 -

 
우리대학 반값 등록금


등록금은 반값, 대학생활은 배가

“반값 등록금 덕에 대학생활의 묘미를 알았죠” 김현수(화학공학 09) 총학생회 문화국장(이하 문화국장)의 말이다. 그는 반값 등록금이 시행된 이후 학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대신 교내 활동을 할 수 있었다. 김현수 문화국장은 “기존에는 아르바이트 때문에 동아리 활동을 하기도 빠듯했어요. 하지만 반값 등록금이 시행되고 나서 동아리 활동은 물론 대동제 자봉단 등 다양한 학교 행사에 참여할 수 있었죠. 학교를 위해 일하는 것에 매력을 느껴 올해 총학생회의 임원으로 활동하게 됐습니다”고 말했다.

반값 등록금 덕분에 국가장학금 혜택도 늘었다. 학교에 배정되는 국가장학금은 등록금을 전년 대비 인하했거나 장학금 확대 등 학생들의 등록금 환원을 위해 자체적인 노력을 한 대학에게 차등적으로 주어진다(국가장학금Ⅱ에 해당). 자연히 우리대학은 타 대학에 비해 국가장학금Ⅱ의 수혜를 받는 학생들이 많아진 것이다.

이러한 혜택에 따라 우리대학 학생들의 등록금 대출은 절반 가량으로 줄었다. 한국장학재단이 제시한 우리대학의 최근 6년간 등록금 대출자 자료에 따르면 반값 등록금이 시행되기 전 한 학기 등록금 대출자는 평균 990명이었으나 시행 후에는 한 학기 평균 47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동아리 활동·봉사 활동·교환 학생 등 대학 생활도 전반적으로 풍성해졌다. 사회공헌팀이 제공한 최근 3년간 우리대학 사회봉사 활동 실적에 따르면 봉사활동에 참여한 학생 수가 1년 평균 1,356명에서 반값 등록금을 실시한 이후 2,849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교환학생을 신청한 학생 수는 340명에서 421명으로 24% 증가했다.


 
반값 등록금 덕에 교육의 질 강화 … 대학 이미지 상승세

올해 입학한 주혜리(국제관계 13)씨는 “우리대학에 입학하게 된 데에 반값 등록금의 영향이 크기는 해요. 하지만 단순히 등록금이 낮은 것보다도 이로 인해 학생들의 실력이 향상되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점이라고 생각해요”라며 우리대학을 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실제로 우리대학 교육의 질은 높아지고 있다. 우리대학은 ‘2012년 학부교육 선진화 선도대학 지원사업(이하 ACE사업) 우수사례 대학’에 선정됐다. ACE사업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잘 가르치는 선도대학’을 선정해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국·공립대 최초로 ACE사업을 실시한 이후로 우리대학은 자체교육인증제도를 통해 꾸준히 교육의 질을 관리해왔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 역시 반값 등록금에 대한 보답 의식으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기 때문에 ACE사업 우수사례 대학에 뽑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또한 우리대학의 브랜드 가치 역시 인정 받았다. 우리대학은 2012년도 ‘대한민국 퍼스트브랜드 특별상’을 수상했다. 한국소비자브랜드위원회는 ‘서울시립대가 반값 등록금을 처음으로 시행함으로써 다른 대학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브랜드’였기에 선정한 것이라고 그 이유를 밝혔다.


 
반값 등록금, 학교 발전 저해요소 됐나?

반값 등록금이 시행된 이후 학교 예산과 관련해 논란이 제기됐다. 신본관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대학본부의 한 관계자는 “반값 등록금으로 지원받는 예산이 늘어 신본관 건축 관련 예산안이 통과되지 못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대학은 신본관 건축에 필요한 예산을 배분받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계획했던 예산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받게 됐다.

이와 관련해서 서울시 측은 우리대학의 ‘교사 확보율’이 충분해 건물 신축이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신본관 건축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은 정책적 변화에 따른 결과일 뿐 반값 등록금과는 무관하다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는 우리대학이 건물을 신축하는 등 외형적 성장을 표방하기 보다는 교육, 연구 역량 강화를 통한 내적 성장을 권하고 있다.


박지혜 기자 bc020132@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