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학생 유출 막기 위한 교과부의 편입정원 감소 정책
그 실효성은 미비해 지방대 재정지원 등 다른 방법 강구해야


지난해 4월 말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는 서울 주요대학의 일반편입 정원을 대폭 감소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13학년도 서울 소재 10개 대학의 일반편입 정원은 897명으로 지난해 일반편입 정원이 1,465명이었던 것을 고려하면 40% 가량 감소한 수치다. 교과부가 편입정원을 감소하겠다는 데에는 수도권 대학으로 편입하는 지방대 학생들의 유출을 막으려는 의도가 깔려있다. 하지만 편입정원의 대폭적인 감소 정책으로 인해 편입 준비생들이 불만을 터뜨릴 뿐 아니라 교과부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정책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

▲ 노원에 위치한 한 편입학원의 강의실이 편입을 준비하는 학생들로 가득 차 있다.

갑작스러운 편입정원 감소 정책에 편입 준비생 혼란

작년 4월 말 예고 없이 발표한 교과부의 ‘2013년도 일반편입 정원 감소 정책’은 당시 편입 준비생들에게 심적 부담을 가중시켰다. 내년 편입을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 역시 편입 준비가 부담스럽게 됐다.

한국외대 용인캠퍼스에 재학 중인 K씨는 입학한 학교에 만족하지 못해 2014년 편입을 목표로 지난해 초 편입학원에 등록했다. 그는 “교과부의 정책 발표 후 계속해서 편입 준비를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많이 고민했다. 정원이 줄어 더욱 힘들긴 하겠지만 목표를 포기할 수는 없다는 생각에 계속 준비하기로 결정했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K씨는 일주일에 세 번, 학교 수업이 마친 후 7시부터 10시까지 강남의 한 편입학원에서 공부한다. 그는 대체로 지인들에게 편입학원을 다닌다는 사실에 대해 말하지 않는다. 편입의 희박한 가능성 때문이다. K씨는 “학교 수업에 편입 시험공부가 더해져 힘들어도, 의지할 사람이 없어 외롭다”고 말했다.


좁은 편입문 통과해도... 학교 적응의 벽은 높아

우리대학의 경우 전체 입학정원에서 차지하는 편입정원의 비율은 약 9%이다. 이는 타 대학에 비해 비교적 높은 수치인데 우리대학이 교과부가 제시한 ‘편입정원 산정기준’에서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대학의 일반편입 정원은 100명이 넘지만 일반편입 정원이 15명인 대학도 존재한다. 

한 해에 편입하는 학생 수가 계속해서 줄어듦에 따라 편입생에 대한 학교의 관심도 줄어드는 게 사실이다. 이에 따라 높은 경쟁률을 뚫고 편입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편입생의 수가 적다보니 편입생들이 학교에 적응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올해 고려대 국제학부로 편입한 홍성훈 씨는 “편입 발표가 늦어 전체 학생들의 수강신청이 끝난 뒤 수강신청을 하게 됐다. 그러다 보니 듣고 싶은 강의는 이미 수강인원이 가득 찬 상태였다. 수강신청 인원 배정 문제는 학교 측에서 배려해 줄 법도 한데 편입생이 소수이다 보니 신경을 덜 쓰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재학생들 무리에 선뜻 끼어들기가 어려워 작년에 편입한 선배들에게 의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방대 학생 유출 막으려면 효과적인 정책 필요해

교과부가 편입정원 감소 정책을 내놓은 주된 이유는 수도권 대학으로 편입하는 지방대 학생들의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학원들과 전문가들은 편입정원 감소 정책이 이러한 교과부의 목적에 적합하지 못하다고 주장한다.

학원가에 따르면 편입정원 감소 정책이 시행된 이후에도 편입 준비생들의 편입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다. 위드유 편입학원 김용란 홍보팀장은 “편입학 정책이 3년에 한번 꼴로 바뀌고 모두 축소 중심의 정책이라서 기존의 편입 준비생을 위축시키고 있다”며 “학원을 찾는 2014학년도 편입 준비생의 수가 줄어든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감소폭이 예상보다 크지는 않다. 설명회를 찾는 학생 수도 예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편입에 대한 관심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또한 학원과 교육 전문가는 편입정원 감소 정책이 지방대 학생 유출을 방지하는데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김용란 팀장은 “편입정원은 계속 축소돼 왔지만 지방대의 사정은 나아지지 않고 오히려 학생 수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편입학 축소가 지방대 살리기의 일환이라는 정부의 주장이 맞지 않는다는 방증이다”라고 말했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이은희 연구원 역시 “2006년부터 시행된 이 정책이 지방대를 빠져나가는 학생들을 막지는 못했다”며 정책의 효과가 미비하다는데 동의했다. 또한 이은희 연구원은 “단순한 편입정원 감소 정책으로는 지방대가 육성되기 힘들다. 지방대를 살리기 위해서는 해당 학교에 재정지원을 하는 등 지방대 특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글_ 이설화 기자 lsha22c@uos.ac.kr
사진_ 김영편입학원 노원캠퍼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