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이스 피싱의 유형별 사례와 대처방법 ]

 
[ 위조 사이트 ]

사이버 경찰청 홈페이지에 피해신고를 하라?

A씨는 자신이 경찰이라 밝히는 한 남자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A씨의 계좌가 범죄에 사용됐으니 사이버 경찰청 홈페이지에 피해 신고를 하라는 것이다. A씨는 사기범의 요구에 따라 경찰청 홈페이지에 접속해 피해신고 배너를 클릭했다. 그리고 신고 절차에 따라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계좌비밀번호, 보안카드 비밀번호 등 개인정보를 입력했다.
사기범은 피해자의 입력 내용을 즉시 수집해 A씨 명의의 공인인증서를 재발급 받았다. 이후 인터넷뱅킹을 이용해 A씨 계좌의 자금을 대포통장으로 이체했다.


[ 자동화기기(ATM) ]

ATM으로 보안 설정을 해야한다?

C씨는 출입국 관리사무소 직원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C씨의 여권이 도용됐으니 경찰에 신고해 도움을 주겠다는 것이다. 잠시 후 전화한 경찰은 먼저 자동화기기에서 보안 설정을 해야 한다며 C씨에게 1만 원을 인출할 것을 요구했다. 그리고 보안 설정을 변경해야 한다며 자동화기기에 번호를 누르게 했다.
C씨는 옆에 있던 청원경찰이 이를 제지해 보이스 피싱 사기를 가까스로 피했다. 출입국 관리 직원을 사칭하며 여권에 문제가 생겼음을 언급하는 보이스 피싱은 주로 외국인에게 많이 발생한다.  


[ 이중 사기 사례 ]

“고객님의 통장이 위험합니다.”

E씨는 계좌를 가지고 있는 ◇◇은행 직원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어느 고객이 E씨의 통장과 카드를 가지고 재발급을 요청하는데 이런 사실을 아느냐는 것이다. 곧이어 은행 직원은 사실 확인을 위해 E씨의 목소리를 녹취해야 한다며 사이버지능범죄 수사국으로 전화를 연결했다. 이후 자신이 수사국의 팀장이라 밝힌 남성은 주민등록번호를 요구했다. 계좌 확인을 위해 계좌번호와 비밀번호까지 요구하는 남성을 의심한 E씨는 전화를 끊고 은행에 문의해 보이스 피싱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 공공기관 사칭 ]

가처분명령 서류를 건네는 법무부?

B씨는 법무부에서 전화가 왔다. B씨의 명의가 도용돼 재산관리를 해주겠다며 송금하라는 것이다. 심지어 가처분명령 서류까지 위조해 B씨를 현혹시켰다. B씨는 내용이 의심스러워 ‘법무부 가처분명령’ 서류 팩스본을 들고 은행에 방문했다.
전화가 온 번호를 확인해보니 법무부 대표번호가 맞았으며 서류 기안자도 법무부 직원 이름과 일치했다. 하지만 다시 전화를 걸어보니 끝내 전화를 받지 않았다. 은행 직원이 조사한 결과 입금계좌와 예금주는 서류 기안자와 전혀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이동통신사 사칭 ]

“전화 요금이 42만 원 밀렸습니다.”

D씨는 이동통신사 직원으로부터 전화요금이 42만 원 밀렸다는 전화를 받았다. D씨는 △△은행에 자동이체를 하고 있어 그럴 리가 없다고 말했으나 직원은 경찰청에 연락하겠다며 전화를 끊었다.
곧이어 경찰에게 연락이 왔고 D씨는 거래 금융기관 및 통장 잔액에 대해 자세하게 이야기했다. 그리고 경찰청 직원의 지시에 따르기로 했다. 당황한 D씨는 채권형 펀드로 담보대출을 받아 이체하려 했으나 이를 이상하게 여긴 은행 직원이 정황을 묻고는 보이스 피싱이라 확신해 제지했다.


[ 협박 사례 ]

“당신의 아들을 데리고 있습니다.”

모르는 번호로부터 온 전화를 받은 F씨는 아들이 “살려 달라”며 흐느끼는 목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나서 한 남성이 전화를 바꾸더니 통장에 돈이 얼마나 있는지 물었다. 남성은 어느 누구에게도 말하지 말고 은행으로 가서 상당한 금액을 카드로 송금하라고 요구했다. 아들 목소리를 들은 F씨는 아들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생각에 이를 곧이곧대로 따랐다. 사기범은 휴대 전화를 끊지 않고 F씨가 타인에게 연락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 빠른 시간 내에 보이스 피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정리_ 이설화 기자 lsha22c@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