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노트

지난 2012년 새내기새로배움터가 열린 2월, 반값등록금이 시행된 직후였다. 우리대학이 자체 제작해 틀어 준 제19대 총선 투표 장려 영상에는 박원순 시장의 인터뷰와 함께 투표를 하면 변화가 이뤄진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 자리에 앉아 있는 신입생 누구나 쉽게 고개를 끄덕였다. 함께 있었던 재학생들 역시 자신들의 투표로 직접 반값등록금을 이뤄냈다는 뿌듯함을 함께 나눴다. 우리대학 학생들에게 반값등록금은 단순히 등록금이 절반으로 줄었다는 것 이상으로 역사적인 사건 그 자체였다.

하지만 최근 반값등록금에 대한 학생들의 여론은 사뭇 다르다. 학교가 마주한 여러 변화를 두고 “서울시 덕분에”라는 말보다 “서울시 때문에”라는 부정적인 얘기가 더 자주 들린다. 교양과목이 대폭 축소되고 대형강의로 바뀐 것도, 해외탐방 등의 사업이 축소된 것도, 100주년기념관 건립이 늦어진 것도 학생들이 보기엔 모두 서울시와 반값등록금 때문이었다. 학생들의 배부른 투정은 아니다. 교수들 역시 서울시가 지금보다 우리대학에 전폭적인 지원을 해줘야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반값등록금 시행 때의 반대여론을 생각해보면 서울시의 태도가 아주 이해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서울시민의 세금으로 지방에서 온 학생들까지, 등록금 혜택을 받는 것에 반대하는 여론은 만만치 않았다. 그런 상황에서 교육 투자를 더 늘리는 것은 분명 또 다른 갈등을 야기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대학은 서울시가 세운 ‘시립’대학이자 전국 유일의 공립대다. 국립대를 위해 마련된 법안을 우리대학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도 서울시의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 우리대학에 대한 서울시의 재정적 투자는 ‘시립’ 교육기관에 대한 당연한 처사인 것이다.

반값등록금의 첫 수혜자인 12학번이 올해로 4학년이 됐다. 등록금 고지서에 ‘102만 2천원’(인문사회계열 기준)이라는 숫자가 찍혀 나온 지 벌써 7학기가 지난 것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의 반값등록금 정책 이후 대학의 서열을 줄여 부르는 ‘중경외시’의 끝 글자에 지나지 않던 우리대학의 존재감을 부쩍 키워왔다. 하지만 우리대학의 경쟁력은 거의 반값등록금에만 의존하고 있다.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이라고 홍보는 하지만 입시생들에게 크게 와닿는 장점은 아니다. 여전히 교육여건은 부실하고, 시설적인 측면도 갈 길이 멀다. 서울시가 우리대학에 가져야 할 책임감의 무게가 조금 더 무거워져야 할 때다.

장한빛 기자 hanbitive@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