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 보다 뜨겁다. 대통령은 국민대담화 자리에서 청년일자리 문제를 거듭 강조했고 이를 바탕으로 관련 정책이 줄줄이 제정됐다. 사회가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겠다며 임금 피크제, NCS 등의 제도를 도입하지만  청년들의 반응은 무미건조하다. 급격한 변화에 아직 실감을 못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청년들이 자신들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문제에 대해 반응이 없으니 정부가 직접 대책 마련에 나설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요즘 정책을 보면 청년 문제를 말하면서도 청년 실업률은 눈높이 때문이라며 중소기업으로 눈을 돌리라는 처방을 내리고 있다. 사실 이름만 갖다 붙였지 그들의 관심은 청년에 없다. 그런데 이런 주먹구구식 대책을 비판하는 청년은 없다. 이 역할은 노사단체와 정치인들이 도맡고 있다.

이는 올해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최근 10년간 줄기차게 일자리 대책이 쏟아졌다. 매번 혁신적인 방안이라며 정책을 소개하지만 쉴새없이 증가하는 실업률 수치만 보면 크게 나아진 것 같지는 않다. 통계가 현실을 완전히 반영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눈앞의 과제에만 매달려 허덕이는 모습에는 변함이 없다.

정부가 노동개혁을 발표하고 일자리구조를 대폭 개선하겠다고 밝힌 다음날 하루에 수천 개의 게시글이 올라오는 취업카페에는 “어떤 대외활동을 해야 할까요?”, “이정도 스펙이면 대기업 지원 가능할까요?”와 같이 자신의 앞길을 남에게 묻거나 스스로의 가치를 저울질하는 질문만이 게시판에 올라왔다. 이는 취업카페만의 얘기가 아니다. 대학에서도 취업준비생들의 얘기는 다를 게 없다.

어떤 정당에서는 청년들의 관심을 잡으려 유능한 청년과 손잡고 청년대표의 자리를 만들려 애쓰기도 한다. 상대적으로 청년들에게 친숙하게 다가올 수 있는 청년대표를 뽑아 관심을 얻겠다는 의도다. 그러나 청년 대표가 관심을 끌지 못하면 선거 때만 쓰이는 일회적인 소모품 취급을 당한 후 버려진다. 청년정책도 마찬가지다. 청년들은 정책 홍보를 위한 소모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그런데 정작 그들은 무력한 존재라는 역할에 너무 충실했다. 청년을 병들게 하는 것은 사회구조와 동시에 그들의 근시안적 시야 때문일지도 모른다. 바쁘다는 것과 힘들다는 얘기만 늘어놓아서는 안된다.  청년들은 눈앞에 닥친 문제에서 벗어나 좀 더 넓은 시야를 가져야 할 것이다.

 
박미진 부국장 mijin3490@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