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호 3면 <‘인권’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때> 기사를 취재한
국승인 기자와 최진렬 편집국장이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

윤리위원회가 5번 열렸다. 어떤 논의가 오갔나
다섯 번의 윤리위원회동안 사건의 진위 여부 및 징계 여부를 논의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인권침해행위가 있었다는 것에는 동일한 의견이 모아졌지만 징계 여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달랐다. 징계에 회의적인 교수도 있다고 들었다. 또한 재발방지 대책에 대해서도 의견이 나왔는데 그 중 하나가 수업평가에 인권침해 관련 항목을 추가하는 것이다.


윤리위원회 이후 전개방향은 어떤가
학교 측에서는 아직 결정된 게 없다는 입장이다. 28일 5번째 윤리위원회가 마지막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무엇보다 징계에 회의적인 입장도 있기 때문에 징계위원회가 안 열릴 수도 있다.


사안이 특수해 취재가 쉽지 않았을 거 같다
학교 측에서 답변을 거의 다 거절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아직 윤리위원회가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인터뷰를 하는 게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나 보다. 그러나 윤리위원회의 내용이나 향방을 진행 중에 보도하는 것도 언론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탄핵심판에서도 헌법재판소의 내용들을 전부 보도하지 않는가. 무엇보다 윤리위의 회의록조차 공개하지 않는 학교의 모습은 투명성 측면에서 더더욱 감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학생자치기구의 대응은 초기에는 뜨거웠는데 지금은 미온적이다
학생들의 여론이 분분했다는 것이 큰 것 같다. 교수들과 마찬가지로 해당교수의 인권침해행위는 잘못되었지만 징계까지 갈 정도는 아니라든가 대자보의 표현이 공격적이고 과장되었다 등의 반론도 있어 학생자치 쪽에서도 강력하게 징계요구를 할 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12월에 발생한 사건이라 총학생회 및 해당 학과 학생회가 다음 학생회로 바뀌어 인수인계측면에서도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


인권센터를 설립한 대학이 생각보다 적어서 놀랐다  
아직은 10개교가 공식적인 인권센터를 운영 중이다. 이마저도 연구소에 소속된 곳도 있는 것으로 안다. 적지만 의의는 충분하다. 고려대와 동국대의 경우 작년에 만들어지기도 했다. 인권센터가 늘어나고 있다. 양성평등센터도 처음에는 그 수가 거의 없었지만 성문제에 대한 합의와 고민이 핵심쟁점으로 대두되었기에 현재는 양성평등센터가 있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