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문화계를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미투운동은 대학사회 곳곳으로 퍼져나갔다. 이에 뒤늦게나마 용기를 얻은 학생들은 잊고 싶었지만 잊지 못한 부조리에 대해 공론화를 시작했다.

하지만 이들은 어디서 무엇을 시작해야할지 모르는 막막함에 빠져있다. 자신의 이야기를 사람들이 믿어줄지도 확실치 않으며 혹여나 자신의 신변이 노출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빠지게 된다. 이들에게 건전하게 작동하는 제보 창구의 존재는 큰 도움이 된다. 자신의 이야기를 비교적 편하게 털어놓으며 안전하게 문제를 공론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학생인권위원회의 ‘세무학과 부조리 의혹 조사 미흡’을 주제로 한 공청회에서 드러났듯, 급하게 출범한 학생자치 기구로서의 제보 창구는 조사 당시 실명 제보를 원칙으로 하며 실제 조사 결과에도 미흡함이 있는 등 제보자의 입장에서 아쉬운 면모를 보였다. 서울시립대신문의 지난호 보도에서는 우리대학 차원에서의 제보 창구를 다뤘다. 하지만 이 역시 관련 기구의 권한·인력 부족 등으로 큰 실효성을 보이지 못했다.

보궐선거 선본은 인권센터 설립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공약했다. 이에 따르면 우리대학에는 학생상담센터·양성평등상담실, 인권위원회, 인권센터, 인권옴부즈맨 등 비슷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조직이 구성될 전망이다. 그런데 부조리 제보자들이 원하는 것은 ‘안전하고 어렵지 않게’ 자신의 경험을 털어놓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단순히 다양한 창구를 개설하는 것이 이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학내에 분명히 있을, 자신의 상처를 혼자 감싸고만 있는 제보자들을 위해 통합적인 제보 접수·처리가 가능하도록 관련 기구들의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