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가 ‘성금이 제대로 사용되지 않았다’, ‘수요집회에 나가지 않겠다’며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의 문제를 지적하는 기자회견을 했다. ‘위안부’ 피해자가 ‘위안부’를 돕는 단체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정의연이 가지고 있던 다른 의혹들도 같이 수면 위로 드러나기 시작했다. 저명한 사회단체임에도 부실하게 이뤄진 기부금 관리, 안성 힐링센터 설립 및 운영 문제 등 다양한 논란은 정의연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부숴버렸다.

일부 단체는 이 사건을 지렛대 삼아 ‘위안부’ 운동과 수요시위의 정당성까지 비난하기 시작했다.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이후 이뤄진 첫 수요집회 옆에서 반대집회를 연 반일동상 진실규명공동대책위(이하 공대위)는 정의연과 윤미향 전 대표가 수요집회를 통해 아동을 학대했다고 검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일본의 보수 언론으로 유명한 「산케이신문」도 정의연 사건을 언급하며 ‘반일 증오의 상징인 위안부 동상을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금까지의 일련의 상황을 살펴보면 정의연의 문제가 ‘위안부’ 운동 자체의 문제인 것처럼 비치는 듯하다. 그러나 전쟁범죄 피해자를 돕는다는 ‘위안부’ 운동의 숭고한 가치는 단체의 옳고 그름만으로 판단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정의연의 문제는 정의연에서 끝나야만 한다.

한편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 후 첫 수요집회는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정의연을 위한 것으로 변질돼 있었다. 사람들은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촉구하는 피켓이 아닌, 정의연을 공격하는 언론을 향한 피켓을 들고 있었다. 정의연도 자신들을 향한 비판을 ‘위안부’ 운동에 대한 공격으로 오도하지 말라. 정의연의 기자회견을 보면, 제기되는 각종 의혹에 ‘분노’로 답하는 모습이 보인다. 정의연은 각종 의혹에 분노가 아닌 객관적인 자료와 책임있는 자세를 보여줘야만 한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