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의 본분보다 기자의 본분을 다하며 숨 가쁘게 달려온 2학년 1학기도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 1학기 종강호 베리타스 주제를 고민하다가 달력을 보았는데 어느새 6월이었다. 다시 6월을 맞아 문득 ‘그들’이 떠올랐다.

1986년 당시 민중들은 전두환 정권의 엄혹한 민주화 세력 탄압으로 혹한 속에서 떨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듬해 초 당시 운동권 선배 박종운의 행방을 캐묻기 위해 박종철을 연행한 경찰들이 그에게 물고문을 가한 끝에 목숨을 잃었다. 경찰은 물고문 사실을 은폐할 목적으로 갖은 공작을 펼쳤다.

비극적이게도 유사한 사건은 다시 발생했다. 교외로 진출하려는 학생들에게 경찰이 최루탄을 발사했는데 규정을 무시하고 직사로 사격한 최루탄이 연세대생 이한열의 후두부에 직격한 것이다.

결국 1987년 6월 10일, 시민들은 대통령 직선제 개헌 논의를 묵살한 전두환 정권에 맞서 싸우기 위해 서울시청 광장으로 나왔다. 이들은 ‘호헌 철폐! 독재 타도! 민주 쟁취!’를 외치며 정권에 거세게 저항했다. 신군부는 항복했고 6월 29일, 노태우 민주정의당 대통령 후보의 직선제 수용 선언으로 야권과 국민의 요구를 받아들이게 된다. 일각에서는 6.29 민주화 선언을 두고 노태우의 직선제 당선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일종의 ‘이미지 메이킹’이었다는 평도 제기됐지만, 국민들이 희생을 치르며 이뤄낸 성과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 사건이다.

민주주의를 이뤄냈다는 것은 국가에서 언론의 자유를 보장해줘야 함을 내포하기도 한다. 실제로 6.29 민주화 선언 전문에서도 ‘정부는 언론을 장악할 수도 없고 장악하려고 시도해서도 안 된다’며 ‘언론을 심판할 수 있는 것은 독립된 사법부와 개개인의 국민’임이 제시됐다. 정부가 언론을 장악해서는 안 되지만 언론 역시 왜곡되거나 편파적인 보도로 정부나 개인에게 압박을 가해선 안 된다. 언론과 정부는 언제나 서로에게 아군일 수는 없지만 언제나 적군이 될 이유도 없는 것이다.

박종철, 이한열 열사 외에도 6월 민주항쟁의 숨겨진 희생자들은 너무나 많다.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민주주의는 이들의 눈물과 피가 일궈낸 값진 결과다. 언론 탄압, 왜곡 보도 모두 이러한 민주주의에 철저히 반하는 행위다. 국민들의 눈과 귀를 닫아 알 권리를 완전히 침해하는 것이다.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은 가장 반(反)민주적인 국가의 모습이다.

다시 6월을 맞아 민주주의 국가 속 언론의 본질과 역할에 대해 고민했다. 언론의 중심에 선 기자들은 단어 선택 하나에도, 문장 작성 하나에도 대중을 선동하거나 매도하지 않도록 고심하고 또 고심해야 할 것이다. 국민들이 보다 신뢰할 이상적 언론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허인영 기자 inyoung3210@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