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튜브 뒷광고 논란으로 여러 유튜버들이 도마에 올랐다. 협찬이나 광고주로부터 영상 제작에 대한 대가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광고임을 드러내지 않은 채 영상을 업로드했기 때문이다. 이런 뒷광고는 대중들이 믿고 시청하거나 구독한 유튜버들이 뒷광고로 그들을 기만한 셈이기에 더욱 논란이 됐다.

그러나 이런 개인 유튜버들의 뒷광고보다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공신력을 가지는 언론이 ‘기사형 광고’나 ‘공짜취재’ 등으로 대중을 기만해왔다는 점이다. 『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는 독자가 기사와 광고를 혼동하지 않도록 명확하게 구분해 편집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언론은 기사형 광고나 공짜취재처럼 기사의 탈을 쓴 광고를 통해 교묘하게 대중의 눈을 속이고 있었다.

오늘날 언론이 ‘기레기’라는 비난에도 불구하고 공신력있는 매체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는 정확하고 신뢰도 있는 기사를 대중에게 전달해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언론은 스스로 쌓아온 공신력을 무너뜨릴 뿐만아니라 법적·윤리적 문제를 낳는 선택을 하고 있다. 유튜버의 뒷광고를 비판했던 언론 또한 ‘광고 표시 없이’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아 기사를 작성한 것이다. 심지어 이런 언론의 뒷거래는 사기업뿐만 아니라 공공기관과도 이어져 있다. 기사형 광고는 언론의 수입원으로 공공기관의 공짜취재는 관행으로 진행됐다.

세계 40개 국가 언론신뢰도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들의 언론 신뢰도는 21%로 조사 대상 국가 중 꼴찌라고 한다. 언론이 그나마 있는 신뢰도라도 지키기 위해서 내려야 하는 선택은 무엇인가. 눈앞의 수익을 위해 지금까지 해왔던 수입원을 지켜내야 할까 혹은 그동안 잃었던 공신력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까. 그 선택에 언론의 미래가 달려있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