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 때 뭐하니

기자의 오랜 취미는 연극과 뮤지컬을 비롯한 공연 관람이다. 마음에 드는 공연을 보는 것을 넘어 굿즈를 구매하고 원작을 공부하며 그림이나 글을 통해 2차 창작을 하는 것도 소소한 재미 중 하나다. 공연은 평범한 일상을 강렬한 이미지로 바꾸고 공연장을 나오면 무대 위 순간들은 다시 펼쳐볼 수 없는 추억으로 기억에 남는다.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확산은 기대했던 공연 관람을 어렵게 만들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 공연진이 감염돼 공연이 연기되거나 무산되는 등 예측 불가능한 사건과 사고들이 벌어졌으며 코로나19로 인한 동반자 외 한 칸 띄어 앉기를 둘러싼 논쟁도 많았다. 예매할 수 있는 좌석 자체가 줄어들며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 인기 있는 공연은 티켓 예매가 어려워진 반면 비인기 공연은 대관료와 개런티를 충당하기 어려워 일찍 막을 내리는 경우가 생긴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공연 실황 영상을 스트리밍하는 극단과 기획사가 하나둘 늘어나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공연들이 실황 영상은커녕 OST를 발매하는 것도 주저했던 것을 생각하면 흥미로운 변화다. 코로나19라는 재난 아래 10년 넘게 순간의 예술을 지향하던 한국 공연계가 생존을 위해 매체와 타협한 순간인 셈이다. 

공연 실황 영상의 장점은 비용적 부담이 적다는 것이다. 대극장 공연의 경우 가장 좋은 좌석이 15만원으로 기자와 같은 대학생이 지불하기에는 부담되는 비용이다. 반면 공연 실황 영상은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으며 보통의 경우 2만원을 넘지 않지만 공연장 맨 앞 좌석보다 가까이에서 공연을 감상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또 다른 장점은 현장에 비해 시공간적 제약이 덜한 영상의 특성상 자막과 수어를 삽입하는 등의 다양한 시도가 가능해진 것이다. 공연 실황 영상은 비용적이나 신체적 이유로 공연장에 접근하기 어려웠던 이들의 진입을 도우며 공연 감상의 문턱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아쉬운 점도 있다. 영상만으로는 현장감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배우의 연기와 노래가 공간을 채우는 것에서 오는 감동을 느끼기도 어렵다. 보고 싶은 부분을 보기 힘들다는 점도 한계다. 현장 공연과는 달리 공연 실황 영상을 볼 때는 카메라가 담아낸 부분만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연 위주로 포착하는 영상을 감상할 때는 무대 디테일이나 사소한 연출, 앙상블의 표정과 묘사를 보기 어렵다.

단계적 일상회복 정책이 시행되며 공연계도 활기를 되찾고 있다. 공연 실황 영상을 공연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비판도 있으나 공연 실황 영상은 공연 감상의 선택지를 넓히고 문턱을 낮춘 새로운 문화다. 현장 공연과 공연 실황 영상 모두 각각의 매력이 있으니 먼저 저렴한 공연 실황 영상을 접하고 직접 공연장에서 관람한다면 색다른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안가현 기자
 worldisred0528@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