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씨, 악플과 루머로 우울증에 시달리다 자살’. 우리 주변에서 쉽게 일어나고 있는 일들의 기사 제목이다. 지난 2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 방송인 A씨 사망사건 관련자의 처벌을 요구하는 청원이 올라왔다. 국민청원은 약 23만 5천 명의 동의를 얻었다.

이 청원에서는 방송인 A씨를 사망으로 이끈 것이 ‘사이버 렉카’라고 주장한다. 사이버 렉카란 사고 현장에 달려가는 렉카(wrecker)처럼 여러 이슈가 생길 때 재빨리 편집한 영상을 온라인 공간에 업로드 하는 인플루언서, 커뮤니티 유저, 유튜버 등을 일컫는다. 그렇다면 위 내용이 국민청원에 등장하게 된 계기는 무엇이고 이로 인해 일어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일까.
 

법적 규제 미비, 수익이 벌금보다 높아

최근 유튜브 등의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상의 정보가 빠른 속도로 공유되고 있다. 사이버 렉카는 별다른 규제 없이 영상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검증된 정보를 전달하기보다 주관적인 영상을 만들 가능성이 높다. 사이버 렉카의 영상으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돼 피해자들이 발생하고 있다. 언뜻 보기에 이들의 영상은 기성 언론이 보도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 객관적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황근 교수는 “각종 커뮤니티와 유튜브 등은 일반 언론과 달리 객관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다 보니 사실성을 판단하는 시스템이 결여될 수 있다”며 “영상 내용이 일반적인 사실인 것처럼 오해하게 만든다”고 전했다. 덧붙여 “영상이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며 “조회수를 높이기 위해 사람들의 관심을 이용한다”고 말했다. 영상의 조회수가 곧 소득이 되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앞서 언급했던 방송인 A씨의 사망 역시 사이버 렉카의 영상으로 인해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며 발생했다. 악성 댓글과 루머 등으로 고통받던 A씨가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이다. A씨는 사망하기 전 악플로 인한 고통을 이겨내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의 안타까움을 샀다. 한 사람에 대한 지나친 비방이 계속해서 피해자를 양산해내고 있지만 큰 피해가 발생한 다음에야 처벌이 가능해 한계가 존재한다.

인터넷은 통신서비스로 분류된다. 개인간의 통화 내용을 문제 삼을 수 없듯 현재 통신서비스는 내용에 대한 규제가 불가능하다. 다만 해당 내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됐을 때 사후 처벌이 가능하다. 황 교수는 “불특정 다수에게 내용이 전달되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을 전통적인 통신 매체로 여겨야 할지 규제해야 할지 전 세계가 고민 중”이라고 답했다. 그는 “규제를 해야 한다고 보는 여론이 많다”면서도 “아직까지 학문적 주장이 존재하지는 않는다”고 전했다. 더욱이 우리나라에서만 규제가 이뤄진다면 애매한 상황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국내 기업이 아닌 유튜브 등의 경우에는 법의 적용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많은 조회수를 얻는 이유는?

그렇다면 사이버 렉카들이 올리는 영상의 조회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평소 유튜브와 학내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을 자주 본다는 B(25) 씨는 “유튜브의 경우 알고리즘에 의해 사이버 렉카의 영상이 올라오곤 한다”며 “관심있는 분야가 아니더라도 궁금증을 일으키는 썸네일을 보면 일단 클릭하게 된다”고 말했다. 또한 “다소 편향되고 거짓된 정보가 있을 수 있지만 어느 정도 맞는 사실을 바탕으로 영상을 만들지 않을까 싶다”며 “어떨 때는 잘못된 부분을 속 시원히 밝히기도 해 좋다”고 말했다. 그러나 지나치게 사생활을 침해하는 영상의 내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의견을 냈다.

황근 교수는 또 다른 문제로 인공지능의 메커니즘을 꼽았다. 정보접근성이 용이한 인터넷 매체의 특성상 이용자는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계속해서 새로운 정보를 제공받으며 불필요한 정보에 과잉 노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황 교수는 “정보원에 대한 조사 역시 선행돼야 한다”고 말한다. 정보원이 어떤 목적으로 의견을 전달하는지 알아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전통적으로 접하던 신문, 텔레비전, 라디오 등의 매체와 달리 인터넷은 접근하기 위한 노력이 덜 필요해졌다”고 전했다. 덧붙여 “개인이 다양한 정보에 접근하고자 노력해야 한다”며 “수동적인 알고리즘 방식에서 벗어나 신문 등 객관성이 확보된 자료를 찾아봐야 편향된 정보를 갖지 않을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인터넷 포털과 유튜브 등의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조회수를 향한 도 넘는 편집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는 만큼 더 이상의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같이 마련해봐야 할 때다.


유은수 기자 silveraqua@uos.ac.kr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