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김현기 의장의 발언으로 촉발된 ‘반값등록금’ 폐지 요구가 시지원금 100억원 삭감으로 이어졌다. 한편 물가인상으로 10년간 이어온 정부의 등록금 인상 억제 정책이 한계를 보였다. 결국 국가장학금 Ⅱ유형을 포기하면서까지 교대와 사립대인 동아대가 등록금을 인상하면서 반값등록금의 실험장이었던 우리대학에 언론의 관심이 집중됐다.

결과적으로 등록금심의위원회(이하 등심위)에서 대학 등록금은 동결됐지만 대학원 등록금은 인상됐다. 하지만 취재를 하며 만난 대학원생들은 “등록금의 앞자리가 바뀌어 무슨 문제가 있는 줄 알았다”며 “학교 측의 사전 공지가 없어서 나중에야 등심위가 열렸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전했다. 대학 등록금이 동결되면서 총학생회가 승리를 자축했던 모습과 확연히 달랐다. 

놀란 점도 있었다. 꽤 많은 대학원생이 등록금 인상에 학부생과 다르게 그렇게까지 거부감이 크지 않았다. 타 대학과 비교한 우리대학 대학원 등록금을 고려해 볼 때 4.05%를 올려도 10만원 수준이라며 조금의 인상은 이해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럼에도 대학원생들은 한목소리로 등록금 인상 결정 과정에 분노했다. “등록금 인상의 뜻은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어도 절차가 옳지 않다”는 요점이다. 

특히 등록금이 인상된 이번 등심위에 등록금 납부의 주체인 대학원생은 한 명도 없었다. 같은 사례로 2021년 외국인 유학생 등록금이 100% 인상됐다. 찬반 의견 하나 피력하지 못하고 인상을 맞게 된 것이다. 지난 2017년에도 같은 문제를 지적하는 기사를 서울시립대신문에서 쓴 바 있다. 대학원에는 총학생회처럼 대표성을 가진 기관이 없었다고 이유를 설명한 담당자의 말은 이해된다. 그렇다면 등록금 인상안을 결의하는 이번 등심위에서 의결권이 없는 참고 위원으로라도 대학원생을 불렀어야 했다. 

갈수록 학생 자치의 중요성이 옅어지는 대학사회다. 그런데도 우리의 의견을 전달할 대표자는 분명히 필요하다. 대표자는 겸허히 듣고 우리는 꾸준히 그들과 소통해야 한다. 이번 등심위 대학원생 등록금 인상이 우리에게 남긴 교훈이다.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