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모범생들> 포스터
1등이 빛나기 위해서는 2등을 밟고 올라가야 한다. 2등이 빛나기 위해서는 다시 3등을 밟고 올라가야 한다. 대한민국의 대학생들은 이 규칙이 적용되는 사회를 경험한 바 있다. 바로 수험생 시절이다.

더 좋은 대학에 가려면, 더 성공한 삶을 살려면 누군가는 내 밑에 있어야 한다. “국적은 바꿀 수 있어도 학적은 못 바꾸잖아요”라는 극중 인물의 말은 수험생들이 겪어야만 하는 결과지상주의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대사다.

연극은 서울의 명문 외국어고등학교에서 벌어지는 얘기를 담고 있다. 자신들의 부모님처럼 가난하게 살지는 않겠다는 명준과 수환은 1등을 꿈꾸는 2등의 표상이다. 다른 학교의 1등이 수험생활의 압박감으로 인해 자살을 했다는 소식을 들은 명준과 수환은 동시에 말한다. “와, 그럼 2등이 1등 되겠네.”

이들은 1등으로 가기 위해 컨닝작전을 세운다. 이 과정에서 성적 하위 3%의 전학생 종태가 합류한다. 세 사람은 성적도, 집안도 상위 0.3%인 반장 민영을 협박하고 모욕해 작전에 끌어들인다. 하지만 결국 컨닝 작전이 탄로나 세 사람은 정학을 당할 위기에 처한다. 결정적인 순간 명준과 수환은 가식적인 웃음으로 “저희, 모범생들이잖아요”라며 잘못을 모두 종태에게 돌린 뒤 위기에서 벗어난다.

이후 성인이 된 세 사람은 검사가 된 민영의 결혼식에서 만난다. 회계사 명준과 정치인 수환은 “사회에서까지 3류 인생”이라며 공업소 사장 종태를 무시한다.

▲ 컨닝 계획을 세우는 세 사람과 이를 바라보는 민영
연극의 서사는 간단해 보인다. 3등이자 꼴찌인 종태는 피해자다. 피라미드 구조 속에서 종태 위에 있는 명준과 수환은 철저한 방식으로 종태를 밟고 올라간다. 이는 누군가가 누군가를 지배하는 피라미드 구조 속에서 ‘뫼비우스의 띠’처럼 반복해서 벌어지는 일이다.

하지만 서사의 무대가 교실을 넘어 사회로 옮겨갈 때 연극의 메시지는 복잡해진다. 명준과 수환은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가 되기 때문이다. 종태를 밟고 올라선 명준과 수환 위에는 그들을 밟고 있는 민영이 있다. 

“한번 정해지면 바뀌는 건 없어. 나에게는 질서, 너희에게는 순서”라는 민영의 대사처럼 그들이 속한 피라미드 구조를 깨는 것은 쉽지 않다. 피라미드 위로 올라가기 위해 명준과 수환은 처절하게 몸부림치지만 너무나 작은 몸짓일 뿐이다. 명준과 수환은 사회가 만들어놓은 방식에 맞춰 충실히 속물이 되기를 욕망하고 있을 뿐이다. 사회가 강요하는 규칙에 따라 움직이는 그들은 어느 순간부터 ‘나쁜’ 모범생이 된다.

이 비극에서 명백한 가해자와 피해자가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을까? 연극 <모범생들>을 관통하는 주제는 교실에서만 유효한 것이 아니다. 결과지상주의의 피해자와 가해자가 뒤섞여 있는 이 연극 안의 현실은 우리가 발을 딛고 있는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다. 어쩌면 이 때문에 연극 <모범생들>이 8년 동안 인기리에 상연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글_ 조준형 기자 no1contro@uos.ac.kr
사진_ 플레이DB 출처
 

저작권자 © 서울시립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